포트폴리오

출판과 영상 제작, 파티문화를 통한 지식문화 콘텐츠
제작을 하고 있는 종합 지식 엔터기업

도서출판

쿨가이가 되자2 : 성숙한 연애로 진화하자
  • 작성일 : 2017-08-24 17:12:50
  • 조회 : 331

쿨가이 시리즈 3

쿨가이가 되자2 : 성숙한 연애로 진화하자

 

 

정가 : 85,000원
저자 : 음양진인
페이지 : 223
ISBN : 978-89-968930-7-3

 

 

 

<책소개>

[단순한 연애에서 성숙한 연애로] 
우리는 진화적으로 연애하고 사랑하도록 만들어져있다. 이것이야말로 인간의 생물학적 존재 이유이다. 하지만 우리는 동시에 지성을 가진 인간이기 때문에 단순한 육욕만을 해소하기 위한 사랑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인생의 동반자를 찾기 위한 사랑도 함께 추구한다. 이렇게 생물학적인 사랑, 감정적인 사랑, 가치적인 사랑을 모두 성취하는 것을 “성숙한 연애”라고 말하며, 쿨가이가 지향하는 도착점인 것이다. 

[연애는 관계성이다] 
여러 가지 연애학에서 말하는 문제점 중 한가지는 너무 개인에 집중한다는 것에 있다. 나만 바뀌면 된다, 혹은 상대방을 이렇게 바꿔라 하는 지엽적인 접근에 집중하기 때문에 연애의 본질을 잊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연애란 두 사람의 관계성 중 한가지 형태이며,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다른 관계성과 같이 접근해야만 한다. 즉, 사회적인 역동성과 관계의 역동성이 연애에도 동일하게 작용하지만 이를 쉽게 무시하곤 한다. 

[묶이지 않는 자유로움] 
결국 인생을 같이하는 사랑이란 서로가 서로의 삶을 존중하고 함께 나아가는 것이다. 이것은 사람들마다 다 다른 형태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방과 함께하는 것이 나의 라이프스타일을 무너뜨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성숙한 연애란 이러한 나의 삶과 상대방의 삶 모두가 온전한 상태에서 서로가 함께 나아가는 것이지, 서로가 서로에게 간섭하고 묶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인간이 가지고 있는 모든 모습(파충류, 포유류, 인간)에서 만족할만한 연애와 사랑을 나눌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인간이 사랑으로 자유로움을 얻는 길이 될 것이다.


<목차>

Intro. 사랑이란 무엇일까? 
경고! 

1부. 지식과 배경
 
제 1장. 연애와 사회공학 
연인관계라는 사회에 대한 이해 
망상과 추상적 사고 
연애와 사회공학 

제 2장. 사회역동성의 인지 
사회역동성을 읽는 법 
리딩 테크닉 
암묵적 동의 리딩 연습 

2부. 연애의 실전 

제 3장.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활용 
그녀의 본심을 아는 법 
파라링귀스틱의 비전 
남자의 그것이 향하는 방향 

제 4장. 언어를 통한 지배 
쿨가이의 언어 사용법 
프레임과 레이어 
멀티 레이어와 프레임 컨트롤 

제 5장. 쿨가이의 센터링 
어디에도 묶이지 않는 자유로움 
제 7감과 쿨가이 

제 6장. 픽업과 실전 연애 테크닉 
픽업과 까임에 대한 생각 
픽업의 기본 모델 구조 
실용 커뮤니케이션 기법 
영원한 좋은 친구 벗어나기 

3부. 성숙한 삶 

제 7장. 남성해방학과 성숙한 삶 
야성인으로서의 성인 남성 
연애를 통한 성숙 

결론 

외전. 쿨레이디가 되자 
첫 번째 : 여동생에게 띄우는 편지 
두 번째 : 쿨레이디가 되자 


<책속으로>

사람이 둘 이상 모이면 사회가 형성되고, 그 순간부터 “권력”이 발생한다. 연애도 남자와 여자가 만나 형성한 작은 단위의 사회다. 따라서 그녀에게 주도권이 있든, 당신에게 주도권이 있든 연애관계에서도 권력을 가진 사람과 갖지 못한 사람이 나뉜다. - p. 15

여성은 기본적으로 암묵적 동의를 따르고 그 허용 범위 내에서 더 이상의 도전을 하지 않으려는 성향이 있다. 왜냐하면 그것이 출산과 양육을 담당하는 여성의 생존 본능에 있어 더욱 유효한 전략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여성은 암묵적 동의가 깨지는 것을 매우 두려워한다. 자신이 속한 그룹에서 자신만 유난히 튀어보이는 것을 싫어하는 등의 행동양식은 이런 심리와 관련이 있다. - p. 27

도미넌트함이란 그저 수컷 고릴라처럼 자신의 강인함을 뽐내는 것도 아니며, 무작정 겸손을 떠는 것도 아니다. 상황을 자신의 통제 하에 두고 모든 상황을 다룰 힘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p. 65

센터링이란 어디에 있건 자신의 중심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이다. 밖에 나갔다가도 원한다면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처럼, 오뚝이가 흔들리면서도 균형을 지키는 것처럼, 마음이 흔들리더라도 자신의 중심으로 언제든지 돌아올 수 있어야 한다. - p. 83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