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출판
신경언어해킹 : 정신의 해커가 되자
- 작성일 : 2017-08-24 17:10:05
- 조회 : 608
쿨가이 시리즈 2
신경언어해킹 : 정신의 해커가 되자
정가 : 85,000원(현재 절판)
저자 : 음양진인
페이지 : 226
ISBN : 978-89-968930-6-6
<책소개>
[이제는 해킹이다!]
신경 언어 프로그래밍(Neuro Linguistic Programming)이 나온지도 40년이 넘었다. 그 사이 많은 사람들이 NLP를 사용하고 연구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도 있었고 발전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 발전된 형태의 NLP를 포스트 NLP(Post NLP)라고 한다. 이 중에는 NLP를 이용하여 연애에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는가 하면, 자기계발에 특화한 것도 있고, 다른 심리 기법과 함께 사용하도록 개량한 것도 있다. 신경 언어 해킹(Neuro Linguistic Hacking)이란 이러한 포스트 NLP 중 한가지로, 다른 사람이 눈치채지 못하게 정신에 간섭하여 변화를 일으키는 NLP기법을 의미한다.
[나는 왜 안될까?]
결국 NLP를 위시한 여러 가지 대화 심리 기법들의 문제는 다른 사람들은 다 효과를 본다는데 정작 나는 그다지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에 있다. 왜 그런 것일까? 이것은 사람의 정신에 접근하는 것을 너무 한 개인으로 한정하여 미시적으로 보는 것에서 기인한다. 사람의 정신에 접근하여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심리적인 문제는 물론이고 그 사람을 둘러싼 사회적인 환경에서의 접근이 함께 해야만 실제로 심리 기법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정신의 백도어를 열어라]
마치 해킹에서 백도어를 한번 만들어 놓으면 계속해서 그 백도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한 번 정신이 다른 사람에게 열리게 되면 그 경로는 의도적으로 닫으려 해도 잘 닫히지 않는다. 그러므로 NLP를 커뮤니케이션과 대화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것보다 우선적으로 정신의 백도어를 만드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일이며, 이것을 남몰래 할 수 있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신경 언어 해커의 자질이 될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 음양진인
저자 음양진인(박한진)는 미국 한의사이며 한의학 박사. 최면가, NLP트레이너. 세계적인 권위의 미국 옴니
최면센터(Omni Hypnosis Center) 한국 지부장이며 한국인 최초로 정식 카후나 과정을 마치고 퀀
텀후나(Quantum Huna)로부터 한국 지부장 자격을 인증받았다.
1995년부터 최면과 NLP를 강의하였고 2007년 여러명의 저자와 함께 「쿨가이」를 출간하여 해외
의 픽업아트(Pick up art)를 국내에 최초로 소개하였다. 임상최면을 포함한 대화형 최면, 무대최면,
콜드리딩, 신경언어해킹 등의 응용심리와 실전심리 기법을 강의해 오고 있다. 저서로는「콜드리
딩」, 「신경언어해킹」, 「쿨가이가 되자2」, 「다크아트」, 「세뇌와 탈세뇌」, 「디베이트와 논
리적 사고」, 「호오포노포노 입문편」, 「호오포노포노 실천편」이 있다.
현재 네이버 카페「지식 큐레이션(http://cafe.naver.com/quantumhunaofkorea/)」을 운영하며 최
면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응용심리, 실전심리기법과 동서양의 형이상학 신비지식들을 소개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 신경네트워크의 지배자, 신경언어해커
제 1장. 신경언어해킹이란 무엇인가?
신경언어프로그래밍의 탄생
신경언어해킹이란 무엇인가?
제 2장. 부팅
인간 정신의 매트릭스 구조
밈과 미메틱스
래포 · 트랜스 · 최면
최면의 마인드 모델
제 3장. 로그인
내면의 방화벽, 비판적 사고 우회
프레임 컨트롤과 컨텍스트 구성
잠재의식을 낚아라
제 4장. 프로그래밍 언어
밀턴과 메타
레벨 · 스테이트 · 인바이얼먼트
3대 핵심 언어패턴
제 5장. 기본 프로그램
앵커링
몰입과 관조
스위시 기법
은유의 힘, 메타포
제 6장. 작동 체크
캘리브레이션
관념역동성
마력의 눈동자
리얼 펄슨
제 7장. 응용 프로그램 ver 1.0
패턴에 대한 이해
패턴 1| NLH 버전 백트래킹
패턴 2| 페이싱-리딩·예스세트 활용
패턴 3| 우수성의 원
패턴 4| 에콜로지 체크
패턴 5| 6단계 리프레이밍
패턴 6| 앵커 붕괴
패턴 7| 리소스 관리
제 8장. 응용 프로그램 ver 2.0
패턴 1| 컨텐츠&컨텍스트 리프레이밍
패턴 2| 마법의 부모님 & 용서하기
패턴 3| 신념 변화시키기
패턴 4| 내면의 현자 만나기
패턴 5| 바운더리 구축
세뇌와 탈세뇌
제 9장. 로그아웃
신경언어해킹의 출력 확인
맺음말. 기억해야 할 것은 H+와 리얼 펄슨임을…
<책속으로>
NLP가 프로그래밍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한 인간의 정신을 구축하는 여러 요소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면, NLH는 NLP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를 익히고 나아가 그것을 응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NLH는 NLP의 요소를 가지고 나아가 신경계를 해킹하는 툴로써 탄생된 것이다. 그리하여 일반적인 대화, 통상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인간의 신경계에 잠입하고, 그것을 바꾸는 데 특화된 기예라고 할 수 있다. - p. 23
따라서 우리가 누군가의 제안이나 생각을 바꿀 때는 논리 수준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제안이나 생각에 대한 느낌과 감정 수준에서 접근을 해야 한다. 그리하여 느낌과 감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쉽게 상대방의 제안이나 생각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 p. 37
잠재의식을 낚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심리를 자극해야 한다. 아무렇게나 자극해서는 별 소용이 없다. 실제 작동하는 방식으로 정확히 자극해야 NLHer의 제안이 잠재의식에 제대로 도달할 수 있다. - p. 75
쉽게 말해 최면상태는 “관념역동성을 보여주고 있는 상태”를 뜻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저 눈을 감고 아무 생각 없이 “네”라고 하거나, 무엇을 물어봐도 “글쎄요”, “잘 안떠오르는데요”라면서 관념역 동성을 보이지 않는 내담자나 상대방은 NLHer의 이야기에 몰입하여 오감정보처리를 하고 있지
않다는 뜻이다. - p. 136
패턴이란 이처럼 언어패턴과 그에 대한 반응을 시나리오로 작성한 것을 미리 연습해서 유사한 상황에서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해준다. 나아가 미처 자신이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도 생각할 수 있게해 준다. - p. 158